■이 페이지는 장애학(Disability Studies)에 대한 정보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위의 항명 아래에 있는 년수가 링크되어 있는 곳은 그해에 나왔던
장애학에 관련되어 일어났던 일/이벤트/문헌/기사 등이 개재되어 있습니다.
■이 페이지 내용의 개략은 아래와 같습니다 ・「장애학(disability studies)」이란 무엇인가
…장애학의 정의에 대해서 몇권의 참고문헌에서 발취한 것 ・「장애학」의 책
…장애학의 일반 문헌으로 생존학창성거점내에 홈페이지에 소개되어 있는 페이지로 링크 ・학회/연구회등
…관련하는 학회, 연구회에 대한 링크 ・관련항목・사람
…생존학창성거점내의 홈페이지에 있는 관련항목・사람에 링크 ・문헌・기사
…참고문헌표(생존학창성거점홈페이지내에 소개파일이 있는 것은 링크되어
있습니다). 관련기사・문장등의 개재도 있습니다.
별도의 페이지장애(인)・장애학・관련서적에도 보다 넓고 상세한 문헌표가 있습니다.
◆『장애학으로의 초대――사회, 문화, 디서빌리티』p.11
「장애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확립하는 학문, 사상, 지식의 운동이다. 이것은 종래의 의료나 사회복지의 시점에서 장애,
장애인을 파악하는 것은 아니다.
개인의 손상치료를 지상명제로 하는 의료[장애인, 즉 장애인복지의 대상] 이라고 하는 시스템으로 부터 탈피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장애인 독자의 시점을 확립 지향하고, 문화로서의 장애, 장애인으로서 살아가는 가치에 착목한다」
◆『현대사회복지사전』,有斐閣,20031110,p.223
장애를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확립하는 학문, 사상, 지식의 운동이다. 장애학에서는 사회가 장애인에 대해서 만들어온 장벽이나,
지금까지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많은 장애 경험의 긍정적 측면에 눈을 돌려, 문화로서의 장애, 커뮤니티로서의 장애,
장애가 가지는 독자의 가치 문화에 착목한다. 일본에서는 나가세오사무등이 중심이 되어 시작했다.
◆『장애학-이론형성과 사정(射程)』
「1982년에 아윙 케네즈 졸라들에 의해서 미국에서 창시된 Disability Studies(장애학)은
그 후 영국에서도 마이클 올리버를 중심으로 해서 크게 발전해왔으며,
미국의 Disability Studies Quarterly(DSQ)과
영국의『Disability and Society』라고 하는 2개의 학술잡지를 핵으로서 국제적으로도 새로운
학술영역으로서 인지되고 있다. 이러한 중에 일본에서도 1999년에 이시카와준/나가세오사무[장애학의 초대](아카시서점)이 간행되었다.
그 이후, 장애학관련서가 몇권인가 발행되었다.」(p.1)
신체(넓은 의미의 신체)가 다름으로 인해서, 사람과 사회 사이에 생기는 사태이며, 이것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대부분 이 문제는 당사자들에게 책임이 있다고 하며, 신체장애・지적장애・정신장애로 나누어지며 발달장애라고 하는 단어도 있다。
1980년 세계 보건기구(WHO)국제 장애분류에서는 기능장애(impairment)→능력장애(disability)→사회적 불리(handicap)라고 분리했다.
이에 대해서 신체를 불리한 원인으로 취급했다는 비판이 있어, 환경인자와 개인적 인자의 상호작용을 중시한 방향으로 수정되었다。
같은 문맥으로서 장애는 사람의 일부이기 때문에 장애가 있는(with disability)사람이라고 기록하려 했지만、사회가 장애를 주기(disablement)
때문에、장애를 받고 있는 사람(disabled)이라고 하는 주장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ADA(The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라고 하는 이름의 법률이 있으며, 당사자들의 세계조직DPI(Disabled Peoples' International)
가 있다。
또한 장애학이라고 불리우는 움직임과 그 흐름 중에 일본에서는 2003년에 학회가 설립되었다.
장애학에서는 개인의 신체와 그 결손에 주목하였으며, 문제해결의 책임을 개인에게 두었다. 치료・훈련하는 의료・복지의 전문가 지배였던 「개인모델」
「의료모델」대신 사회 안에서 장애가 나타나는 것을 파악하여 사회변혁을 요구하는「사회모델」을 주장하게 된 것이다。
또한 당사자들의 경험과 기여를 중시한다。신체는 벗어날 수 없다라는 어려움이 이야기 되면서, 장애의 부정성 또한 의문화 되었다. 독자적인 문화의
측면이 있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앞으로 고민해야 할 것은 많다. 할 수 있는 것=능력(할 수 없는 것=장애)의 상태가 사람들을 모두 평등하게 한다면 업적원리/능력주의를 채용해서라도,
사람은 평등하게 대우받고 동등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장애라고 하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현행의 사회는 기본적으로 그것만으로도 좋다라고 말 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에는 격차(차별)가 있다.
또한 사람들의 신체는 모두 다르다. 그것을 어떻게 생각하고 대응할 것인가, 그것은 사회규범・사회구성의 근본적인 과제가 된다.
할 수 없는 것은 기계나 다른 사람이 대신 해주면 된다 라고 하는 주장은 정당하다. 사실 기계로 대신할 수 없는 것도 있다. 모습과 모양이 다른 것에
대해서 사람들의 시선이 집중된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반응은 그 사람의 감성과 감각에 따라 다르다. 또한 그 반응 즉 인식은 변경이 어렵다고 한다.
그렇다면 문제는 사람들의 인식에 변화는 없을 것인가. 그렇게 말하고 싶지 않다면 무엇을 말 할 수 있을 것 인가.
■사회모델(social model)
「Disability의 문제는 자신의 신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장애인을 배제하는 사회에 있는 것을 말한다.
종래의 개인모델, 의학모델에서 탈각하여 여기에 사회모델이 성립되어....」(『장애학에의 초대』p.17)
「영국의 마이클 올리버(Michael Oliver)등이 이 단어를 사용했지만, 그 발상은 일본의 특히 1970년대 이후의 장애인운동을 포함한,
전세계의 장애인운동들 중에서도 주목할만하다. 개인의 신체와 그 결손에만 주목하고, 그곳에서 생기는 문제해결의 책임을 개인이 지는 것과
함께 치료하거나 훈련하는 의료/복지의 전문가의 지배를 정당화하는 [개인모델][의료모델]를 대신하여 사회관계중에서도 장애가 장애로서
나타난다고 하여, 문제의 해결을 사회제도/사회관계의 혁명을 요구한다.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당사자들의 경험을 중요하게 하고, 변혁에
대한 장애인자신의 기여를 중시한다.」
◆久野 研二・中西 由起子 20041010 『재활국제협력입문』,三輪書店,251p.
「장애의 사회모델(social model of disability)은 의학모델이 심신의 기능적문제의 측면을 중시하는 것을 문제로 하고 있다.
이 모델은 [사회참가의 기회가 평등하며, 차별이 없든 어찌하든]이라고 하는 인식을 기초로 하는 것이다. [사회] 그 것을 보는 대상으로 하여금,
불평등하며 차별적인 사회의 구조나 제도, 사람들의 태도를 장애와 함께.
불평등한 사회(장애가 있는 사회)를 평등한 사회(장애가 없는 사회)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사회모델은 장애를 [심신기능에 장애를 가진것을 전혀 또는 거의 배려하지 않고, 사회활동의 주류에서 그들을 베제하고 있는 지금의 사회조직에
의해서 만들어낸 불이익은 또는 활동의 제약]이라고 정의한다. 즉 장애와의 개인의 기능/능력장애는 아니다. 사람들의 사회참가를 저해하는
사회의 장벽인것이다.」(p.72)
◆Campbell, Jane ; Oliver, Mike eds. 1996
Disability Politics : Understanding Our Past, Changing Our Future
Routledge, 223p. 2400
◆Barton, Len ed. 1996
Disability & Society : Emerging Issues and Insights
Longman, 265p. 2700
◆Gooding, Caroline 1994
Disabling Laws, Enabling Acts : Disability Rithts in Britain and America
Pluto Press, 219p. 2900
◆HMSO 1996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1995 : Guidance on Matters to be Taken into
Account in Determining Questions Relating to the Definition of Disability
HMSO, 18p. 1500
◆HMSO 1996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1995 : Code of Practice - for the Elimination
of Discrimination in the Field of Employment against Disabled Persons or
Persons Who have Had a Disablity
HMSO, 58+xp. 2000
◆Secretary of State for Social Security 1996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1995 : Code of Practice - Rights of Access
Goods, Facilities, Services and Premises
The Stationary Office, 22+vp. 1200
◆Paterson, Judith 1997
Disability Rights Handbook, 22nd Edition April 1997-April 1998
Disability Alliance ERA, 280p. 2100
◆Hedges, Alan ; Thomas, Andrew 1994
Making a Claim for Disablity Benefits
HMSO, Department of Social Security Research Report No.27, 84p. 2600
◆Wright, Ken ; Haycoxs ; Leedham, Ian 1994
Evaluating Community Care : Services for People with Learning Difficuties
Open Univ. Press, 191p. 3600
◆Davis, L (ed) 1997 "Disability Studies Reader" Routledge
ISBN 0-415-91471-X
Davis, L.은 "Enforcing Normalcy: Disability,
Deafness and the Body", 1995, Verso(작년4월의「현대사상」
「농문화」총특집에 1부 일어역)의 저자입니다. 이하의*는 동저로 부터.
여기에는 전부 27권이 게재되어 있지만 거의 모두 나와 있는
논문들의 재게입니다. 구성은,
1. 역사적시점
1. 정상의 구축*
2. 고대그리스의 농자 (Edwards)
3. 근대초기 영국의 농에 관한 판타지 (Nelson and Berens)
4. 118세기이전의 장애와 사회 (Winzer)
5. 주변성의 이해*
6. 19세기의 농 은유적 구축 (Zontag)
2. 장애의 정치
7. 농인 것에 대한 구축(Lane)
8. 고용가능성의 이미지를 광고하는(장애와 자본주의)(Hahn)
9. 중절과 장애(Hubbard)
3. 스티구마와 질병
10. 「낙인」로 부터(Goffman)
11. 낙인(Coleman)
12. 에이즈와 은유(Sontag)
4. 젠터와 장애
13.육아, 섹슈얼리티, 장애여성(Asch and Fine)
14. 장애의 페미니스트이론을 향해서(Wendell)
15. 페미니스트이론, 신체, 장애를 가진 인물(Thomson)
5. 장애와 교육
16. 장애학을 기존의 커리큘럼에 통합하다(Thomson)
17. 농문화를 다문화 커리큘럼에 포함(Dirksen and Drake)
6. 장애와 문화
18. 수화와 문학이론(Bauman)
19. 사진과 후릭(Hevey)
20. 모던니스트 후릭와 포스트 모던니스트 그리스인(Mitchell)
21. 장애、포스트코로니얼、살먼・라시디(Uprety)
22. 맹목(盲目)과 아트(Mirzoff)
7. 픽션과 시
23. 헬렌과 손가락(Finger)
24. 시(Wade)
25. 소녀와 여왕(Trahan)
26. 시(Fries)
27. 섹스와 가다와(Golfus)
Tucker, Bonnie, 1993, "The problem of deafness", The Volta Review, 95: 105-108(=佐野 역1993,「농의 문제」『청각장애』48:43-45)
Wang, Caroline 1992 "Culture, Meaning and Disability: Injury Prevention Campaigns and the Production of Stigma,"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5(9): 1093-1102
Wendell, Susan, 1996, The Rejected Body, New York & London: Routledge.
Whyte, Susan Reynolds, 1995, Disability between Discourse and Experience, Ingstad, Benedicte and Susan Reynolds Whyte eds. Disability and Culture, Berkeley, Los angeles and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Zola, Irving Kenneth, 1993, "Self, Identity and Naming Question: Reflections on the Language of Disabilit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36(2): 167-173
Finkelstein, Victor, 1981, "To Deny or not Deny Disability", Brechin, A., ed. Handicap in a Social World, Sevenhoaks: Hodder and Stoughton in association with the Open University Press.
Oliver, Mike, 1986, "Social Policy and Disability: some theoretical issues," Disability, Handicap & Society, 1(1):5-17.